사주팔자 60갑자표, 60갑자 순서, 60갑자, 12간지, 10갑자

사주팔자 60갑자(六十甲子) 완전 가이드

원리 → 구성(천간·지지) → 계산법(연·월·일·시) → 전체 목록 → 치트시트 → 활용 · Q&A

60갑자천간 10지지 12를 음양 규칙대로 짝지어 만든 60개의 간지 조합입니다. 음양·오행의 흐름을 바탕으로 연·월·일·시를 표시하며, 역사 연대 표기, 사주명리, 택일, 띠 문화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.

1) 기본 원리 — 왜 ‘60’일까? 60갑자 뜻

  • 천간(10) × 지지(12) 조합. 최소공배수 LCM(10,12)=60 → 60쌍 후 순환.
  • 짝짓기 규칙: 양간(甲丙戊庚壬) ↔ 양지(子寅辰午申戌), 음간(乙丁己辛癸) ↔ 음지(丑卯巳未酉亥).
  • 시작은 갑자(甲子), 끝은 계해(癸亥).

2) 구성 — 천간 10 · 지지 12

천간(天干) 10개 — 음양·오행
음양 오행 키워드
甲(갑)싹틈·개척
乙(을)유연·굽이침
丙(병)발화·명료
丁(정)온기·정제
戊(무)중심·성곽
己(기)내실·조율
庚(경)결단·절제
辛(신)정련·절삭
壬(임)원류·포용
癸(계)이슬·마무리
지지(地支) 12개 — 음양·오행·띠·시간
음양 오행 시간(전통)
子(자)23–01시
丑(축)01–03시
寅(인)호랑이03–05시
卯(묘)토끼05–07시
辰(진)07–09시
巳(사)09–11시
午(오)11–13시
未(미)13–15시
申(신)원숭이15–17시
酉(유)17–19시
戌(술)19–21시
亥(해)돼지21–23시
짝짓기 규칙 요약: 양간↔양지, 음간↔음지. 그래서 갑자→을축→병인→정묘… 순으로 이어집니다.

3) 빠른 계산법 — 연/월/일/시

A. 연(年) 간지

기준: 서기 4년(AD 4) = 갑자년

  1. 천간 인덱스 = (연도 − 4) mod 10 → 0:갑,1:을,…,9:계
  2. 지지 인덱스 = (연도 − 4) mod 12 → 0:자,1:축,…,11:해

예) 1984→갑자, 2000→경진, 2024→갑진, 2025→을사

※ 민속 띠는 양력 1월1일 기준으로도 부르지만, 명리·절기 기준은 보통 입춘(약 2/4)을 새해 경계로 봅니다.

B. 월(月) 간지

  • 지지 고정: 1월=寅, 2월=卯, 3월=辰 … 12월=丑 (절기 기준)
  • 월의 천간은 그해 연간으로 1월(寅월)의 간을 정하고 이후 10간 순환
연간 1월(寅월) 시작
甲·己년丙寅
乙·庚년戊寅
丙·辛년庚寅
丁·壬년壬寅
戊·癸년甲寅

예) 2025=乙巳년 → 1월은 戊寅, 2월 己卯, 3월 庚辰 …

C. 일(日) 간지

연속된 60일 주기로 끊김 없이 순환합니다. 실무에서는 만세력 등 표준 역법표(또는 JDN 60 나머지 계산)를 사용합니다.

D. 시(時) 간지

  • 2시간 = 1지지(子시 23–01 → 丑 → … → 亥)
  • 해당 일(日)의 천간에 따라 자시(子時)의 간이 정해지고 이후 10간 순환
甲·己일 → 甲子 시작
乙·庚일 → 丙子 시작
丙·辛일 → 戊子 시작
丁·壬일 → 庚子 시작
戊·癸일 → 壬子 시작

4) 60갑자 순서(1→60)

1. 갑자
2. 을축
3. 병인
4. 정묘
5. 무진
6. 기사
7. 경오
8. 신미
9. 임신
10. 계유
11. 갑술
12. 을해
13. 병자
14. 정축
15. 무인
16. 기묘
17. 경진
18. 신사
19. 임오
20. 계미
21. 갑신
22. 을유
23. 병술
24. 정해
25. 무자
26. 기축
27. 경인
28. 신묘
29. 임진
30. 계사
31. 갑오
32. 을미
33. 병신
34. 정유
35. 무술
36. 기해
37. 경자
38. 신축
39. 임인
40. 계묘
41. 갑진
42. 을사
43. 병오
44. 정미
45. 무신
46. 기유
47. 경술
48. 신해
49. 임자
50. 계축
51. 갑인
52. 을묘
53. 병진
54. 정사
55. 무오
56. 기미
57. 경신
58. 신유
59. 임술
60. 계해

감각 팁: 지지가 띠(자=쥐, 축=소…)를 결정. ‘갑’으로 시작하는 해는 10년 간격으로 반복(예: 1984 갑자, 1994 갑술, 2004 갑신, 2014 갑오, 2024 갑진).

5) 오행·방위·계절 — 한눈 치트시트

상생/상극

상생: 목→화→토→금→수(→목)

상극: 목↔토, 토↔수, 수↔화, 화↔금, 금↔목

방위·계절 감각

방위: 목=동, 화=남, 금=서, 수=북, 토=중앙

계절: 인·묘(봄), 사·오(여름), 신·유(가을), 해·자(겨울), 진·술·축·미(환절)

6) 어디에 쓰나? — 한국 문화 & 실전

  • 역사 연대 표기: 실록 등에서 간지와 함께 사건 연도 기록
  • 사주명리·택일: 연·월·일·시 네 기둥 분석
  • 풍속: 띠 문화(혼사·개업일·이사일 길흉 관습)
  • 한의학·풍수: 음양오행 균형 개념 응용
  • 브랜딩: 행사/콘텐츠 제목에 간지 활용(예: “갑진년 특별전”)

7) 실전 예시

1991년
(1991−4)=1987 → 천간7=辛, 지지7=未 → 신미(辛未) = 양띠
2025년
(2025−4)=2021 → 천간1=乙, 지지5=巳 → 을사(乙巳) = 뱀띠
최근 해 메모
2023 癸卯 · 2024 甲辰 · 2025 乙巳

8) 자주 묻는 Q&A

Q1. 왜 서기 4년을 갑자년으로 쓰나요?
A. 전승된 역법 기준을 표준화해 (연도−4) 공식을 널리 사용합니다.

Q2. 띠와 60갑자는 뭐가 다른가요?
A. 띠는 지지 12만 사용(12년 주기), 60갑자는 천간+지지(60년 주기)로 더 섬세합니다.

Q3. 윤달이 있으면 월 간지가 바뀌나요?
A. 간지 순환은 24절기(절·중) 기준으로 정해지며 윤달과 무관합니다.

9) 작성·암산용 치트시트(복붙)

  • 연간지: (연도−4) mod 10/12 → 간·지 인덱스 매칭 (예: 2025=乙巳)
  • 월간지: 1월=寅~12월=丑(지지 고정), 연간별 1월 간 시작(甲己→丙寅 / 乙庚→戊寅 / 丙辛→庚寅 / 丁壬→壬寅 / 戊癸→甲寅)
  • 일간지: 60일 주기(JDN 60 나머지). 만세력으로 검산
  • 시간지: 2시간=1지지(子시 23–01). 자시 간은 일간별 5규칙(甲己→甲, 乙庚→丙, 丙辛→戊, 丁壬→庚, 戊癸→壬)

※ 본 정리는 교육·콘텐츠 제작 편의를 위한 요약입니다. 날짜·시각 세부 계산은 만세력 등 표준 자료로 최종 확인하세요.